반응형
이 글은 조선 후기 사회 변혁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다룬 글입니다.
# 예언 사상의 대두
(1) 민심의 동요
삼정의 문란, 화적과 수적의 출몰, 이양선 출몰
- 이양선 : 조선 후기에 우리나라 연해에 나타난 서양 선박을 가리크는 말.
(2) 비기 및 도참의 유행
정감록 및 미륵 신앙 등의 확산 -> 민중의변혁 의지 반영
- 정감록 : 조선 후기 민간에서 널리 유행한 예언서의 하나
# 서학 (천주교) 전래
(1) 서학의 소개
청을 왕래하던 사람들에 의해 서양 학문으로 소개되었다. 18세기 후반 남인 계열의 일부실학자들이 산응으로 수용
(2) 서학의 확산
1. 평등과 내세 사상을 내세우며 확산
2. 유교의 제사의식 거부
3. 정부에서 사교로 규정
4. 정부의 탄압 (신유 박해,1801) , 황시역 백서 사건 발생
- 황시영 백서 사건 :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천주교 신자였던 황시영이 중국 베이징에 있던 선교사에게 박해의 실태를 전하고 서양 함대의 파견을 요청하는 글을 비단ㅇ ㅔ써서 보내려고 하다가 발각된 사건
# 동학의 창시와 확산
(1) 창시
경주의 몰락 양반이던 최제우가 창시 (1860)
- 서학에 반대되는 학문이라 하여 동학
(2) 정부의 반응
혹세무민의 죄목으로 최제우를 처형하였고, 이후 동학 교도를 탄압하였다.
(3) 교세의 확산
1. 2대 교주 최시형이 동경대전, 용담유사등을 정리하였다.
2. 포접제의 정비
- 포접제 : 동학의 모임 장소인 접소에 책임자인 접주를 두고, 전국을 포와 접으로 나누어 관리한 동학의 교단 조직
반응형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후기 실학(상공업 중심의 개혁론) (0) | 2022.10.13 |
---|---|
조선 전기 호란의 발발 (0) | 2022.10.13 |
조선 전기 사화의 발생 (0) | 2022.10.13 |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0) | 2022.10.13 |
조선 전기 농본주의 정책과 토지 제도 (0) | 2022.08.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