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조선 전기 사화의 발생

by ,ㅣ,ㅣ, 2022. 10. 13.
반응형

이 글은 조선 전기에 일어난 사화의 발생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무오사화

(1) 발생 시기

 1498, 연산군 4년

 

(2) 과정 및 결과

1. 사림의 훈구 세력 비리와 부패에 대한 비판으로 사림과 훈구 세력의 갈등이 격화

2. 실록 편찬 과정에서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제자 김일손이 사초로 삼은 것을 훈구 세력이 문제 삼아 사림 축출

  • 조의제문 : 김종직이 세조의 왕위 찬탈을 풍자하여 1457년에 지은 문서로 항우가 초의 의제를 폐하고 초왕의 지위를 차지한 것을 세조가 단종을 폐하고 왕위를 찬탈한 것에 비유하였다.

# 갑자사화

(1) 발생시기

 1504, 연산군 10년

 

(2) 과정 및 결과

 연산군이 자신의 생모인 폐비 윤씨 폐출 및 사사 사건을 이유로 사림과 훈구 세력을 제거한 사건

  • 윤씨 폐출 및 사사 :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는 질투가 심하여 왕비의 체통에 벗어난 행동을 많이 했다하여, 1479년 윤씨를 폐했다가 다음 해에 사사하였다.
  • 사사 : 국가적 중죄를 범한 죄은을 참형이나 교형에 처하지 않고 왕명으로 독약을 마시게 하여 죽게하는 것.

# 기묘사화

(1) 발생시기

 1519, 중종 14

 

(2) 과정

1. 중종반정(1506) : 연산군의 폭정에 반발하여 신하들이 반정을 일으켜 중종을 추대하였고, 반정 공신의 권력을 장악하였다.

2. 중종의 사림 등용 : 공신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조광조 등 사림 세력을 등용하였다.

3. 조광조의 개혁 정치 : 사림 등용을 위한 현량과 실시, 경연과 언론의 활성화, 도교 행사를 주관하는 소격서 폐지, 소학 보급, 공납제도 개선 주장, 위훈 삭제

 

(3) 결과

 남곤, 홍경주 등의 훈구 세력에 의해 조광조 등의 신진 사림 세력이 숙청당하였다.


# 을사사화

(1) 발생시기

 1545, 명종 즉위시기

 

(2) 과정 및 결과

 왕실 외척 간의 권력 투쟁 (윤원형 일파 소윤이 윤임 일파 대윤을 숙청하면서 사림이 크게 화를 입은 사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