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담은 글입니다.
# 명과의 관계
(1) 태조
정도전을 중심으로 요동 정벌을 추진하면서 명과 일시적 긴장 관계 형성
(2) 태종 이후
사대 외교 (책봉과 조공 형식) 를 통하여 친선관계를 유지하였다.
- 책봉 : 중국 황제가 주변 여러 나라의 군주나 통치자에게 관직을 수여하여 군신관계를 맺는 외교 방식
- 조공 : 책봉을 받은 주변 국가의 국오앙이나 사절이 중국 황제를 알현하고 토산물 등을 바치고 답례품을 받아오는 일종의 공무역
# 여진과의 관계
(1) 강경책
세종 때 4군 6진 지역을 개척(최윤덕 장군 부대가 출정)하여 압록강 ~ 두만강의 국경을 확정하였다.
- 4군 : 우예, 여연, 자성, 무창
- 6진 : 은성, 경원, 종성, 회령, 경흥, 부령
(2) 회유책
여진족의 귀순 장려, 국경 지역에 무역소, 한양에 북평관을 설치하여 교역을 허용함.
(3) 사민정책
삼남 지방의 주민을 북방으로 이주 시켰다.
- 북방 개척과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하였다.
# 일본과의 관계
(1) 강경책
세종 때 이종무가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대마도)를 토벌하였다.
- 대마도 정벌 : 잇따른 토벌에도 왜구의 약탈이 계속되자 세종 때 이종무가 병선과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대마도를 토벌하였다.
(2) 회유책
3포(부산포, 제포, 염포)를 개방 하고, 제한된 범위 내에서 교역을 허용(계해약조)하였다.
- 계해약조 : 1443년 조선 정부와 대마도주가 무역에 관해 맺은 조약으로, 세견선의 수와 일본인의 체류 기간 등을 규정하였다.
# 기타 국가와의 관계
유구 (류쿠), 시암, 자와(자바)등 동남아시아 여라나라와도 교류하였다.
반응형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후기 사회 변혁의 움직임 (0) | 2022.10.13 |
---|---|
조선 전기 사화의 발생 (0) | 2022.10.13 |
조선 전기 농본주의 정책과 토지 제도 (0) | 2022.08.05 |
조선 후기 농민 봉기(홍경래의 난, 임술농민봉기) (0) | 2022.08.03 |
숙종 집권기 붕당정치(3차례의 환국) (0) | 2022.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