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조선 전기 호란의 발발

by ,ㅣ,ㅣ, 2022. 10. 13.
반응형

이 글은 조선전기 발발한 호란의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광해군의 정치

(1) 전후 복구 사업

1. 양안과 호적 재작성

2. 경기도에 대동법 실시

3. 국방강화

4. 동의보감 완성

 

(2) 중립 외교 정책

 배경 : 명이 쇠퇴하고 후금이 강성해지는 상황에서 명이 조선에 지원군 파병 요청

 대응 :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는 중립적인 외교 전개

  • 강홍립의 항복 (후금)

# 인조반정

 광해군의 인목대비 폐위 및 영창대군 살해, 중립 외교 등을 이유로 서인이 광해군과 북인 정권 축출

 


# 정묘호란(1627)

(1) 배경

 서인 세력의 친명배금 정책

 명 공격 전에 배후를 안정시키려는 후금의 의도

 

(2) 전개

1. 후금이 이괄의 난을 구실로 침략

  • 이괄의 난 : 인조반정 때 참여한 이괄이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 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일으킨 난이다. 난은 진업되었으나, 이괄의 잔당이 후금으로 도망가서 인조 반정의 부당함을 호소하였다. 이에 후금은 광해군을 위해 보복한다는 핑계로 조선을 침략하였다.

2. 인종의 강화도 피난, 관군과 의병 활약 (정봉수, 이립 등)

 

(3) 결과

 화의 성립 (형제의 맹약)

 


# 병자호란(1636)

(1) 배경

 국력이 강해진 후금(청)이 조선에 군신 관계 요구 -> 조선의 군신 관계를 거부하였다.

  • 주화론과 주전론의 대립하였으나, 주전론의 우세

 

(2) 전개

1. 청 태종의 조선 침략

2. 인조가 남한산성에서 항전 (45일)

3. 청에 항복(삼전도의 굴욕)

 

(3) 결과

1. 청과 군신 관계 체결

2. 청에 인질로 끌려감 (소현세자, 봉립대군 등)

3. 공물 납부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