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영정법의 실시
(1) 배경
1.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이 원칙대로 시행되지 못함 (전세의 문란)
2. 양난 이후 농경지의 황폐화
(2) 내용
전세의 정액화 :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씰 4~6두 징수
(3) 결과
전세 인하로지주의 부담감소 -> 전세 이외의 여러 명목의 부가세 증가로 농민의 부담은 오히려 증가
- 부가세 : 세금을 납부하는 과정에서 추가로 징수되는 각종 수수료, 운송비 등을 말한다.
# 대동법의 실시
(1) 배경
16세기 이후 방납의 폐단이 극심해지면서 농민의 부담이 증가함
(2) 시행
1. 광해군 집권기 경기도에 처음 실시
2. 점차 확대되어 숙종 때 평안도 등을 제외한 전국에 실시됨
- 방납 관련자들과 지주층의 반대로 전국적 시행까지 100년이라는 시간이 소요됨
(3) 내용
공납의 전세화 및 금납화 : 공납을 토지 결수에 따라 쌀 1결당 12두, 무명이나 베, 동전 등으로 징수하게 하였다.
- 공납 : 각 지방의 특산물을 현물로 수취하는 제도인데, 지역별로 부담이 불공평하고 수송과 저장에도 불편이 많았다.
(4) 결과
1. 토지가 적거나 없는 농민의 부담이 크게 감소
- 그러나 대동세를 지주가 전가하여 농민 부담은 점차 증가
2. 진상 및 별공은 여전히 농민 부담으로 작용
3. 상품 화폐 경제의 발달 : 관청에 물품을 납품하는 공인 등장, 화폐 유통의 증가
- 공인 : 대동법 실시에 따라 등장한 상인으로, 각 관청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구입하여 납품하는 역할을 맡음.
반응형
'조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전기 왜란의 극복과 영향 (0) | 2022.10.19 |
---|---|
조선 후기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0) | 2022.10.19 |
조선 후기 실학(상공업 중심의 개혁론) (0) | 2022.10.13 |
조선 전기 호란의 발발 (0) | 2022.10.13 |
조선 후기 사회 변혁의 움직임 (0) | 2022.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