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삼국 통일 이후 통일 신라의 성쇠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글입니다.
# 강력한 왕권의 확립
(1) 문무왕
삼국 통일 완수
- 고구려 멸망
- 나, 당 전쟁 승리
(2) 신문왕
김흠돌의 모역사건을 계기로 귀족 세력 숙청
- 신문왕이 즉위하던 해에 왕의 장인 김흠돌의 모역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에 많은 귀족들이 관련되어 있어서 귀족들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이 행해졌고, 이를 계기로 왕권이 강화되었다.
중앙 정치 기구와 군사 조직 정비
지방 행정 조직 완비(9주 5소경)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 귀족들의 경제 기반 악화 -> 경덕왕 때 귀족들의 요구로 녹읍이 부활하게 됨.
국학 설립 (유학 강조)
# 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
(1) 중앙 통치 조직
집사부와 시중의 기능 강화
- 집사부와 시중 : 집사부는 왕명을 받들고 기밀 사물를 관장하는 곳이다. 시중은 집사부의 장관으로 경덕왕 때까지는 중시라고 하였으나 그 뒤에 시중으로 바뀌었다.
행정 업무를 분담 (위화부를 비롯한 13부)
사정부 (감찰 기구)와 국학(국립 대학) 설치
(2) 지방 행정 제도
9주의 행정 기능 강화, 5소경 설치로 지방의 균형적인 발전을 꾀하였다. -> 중앙 집권 체제로 재정비
- 신라의 5소경 : 5소경은 수도인 금성이 지나치게 동남쪽에 치우쳐 있음으로써 나타나는 지방 통치의 어려움을 보완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었다. 아울러 정복한 국가의 귀족들을 강제로 이주시켜 이들을 통제하고, 각 지방의 균형 있는 발전을 꾀하고자 하였다.
특수 행정 구역 : 향, 부곡
중앙 집권 강화 : 외사정 파견(지방관 감찰), 상수리 제도(지방 세력 견제)
- 상수리 제도 : 지방 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지방 세력가나 그 자제를 일정 기간 수도(금성)에 와서 거주하게 한 것으로, 고려 시대의 기인 제도로 계승되었다.
(3) 군사제도
중앙군 9서당 : 고구려, 백제, 말갈족까지 포함하여 민족 융합을 꾀하였다.
지방군 10정 : 9주에 1정씩 (한주에는 2정) 배치
반응형
'고대&고려 > 남북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집권 체제의 구축(광종/경종) (0) | 2022.10.11 |
---|---|
남북국의 문화유산(과학 기술, 문화재) (0) | 2022.10.11 |
통일신라와 발해의 사회상 (0) | 2022.10.11 |
고려 과학 기술의 발달 (0) | 2022.08.02 |
고려의 상업과 무역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