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대&고려/남북국&고려21

고려의 사회 정책과 농민 공동체 이 글은 고려의 사회 정책과 농민 공동체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를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고려의 사회 정책 (1) 농민 생활 안정책 시행 농민 몰락에 의한 세금 부담 계층의 감소를 막기 위해 실시 (2) 사회 제도 1. 의창 : 흑창을 개칭한 것으로 빈민 구제기관이다. 2. 상평창 : 물가 조절 기관으로 개경, 서경 ,12목에 설치되었다. 3. 동, 서 대비원 : 가난한 환자의 진료 및 빈민 구휼을 담당하였다. 4. 혜민국 : 의약 전담 기관 5. 제위보 : 기금 마련 후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기관 보 : 기금을 조성하여 공공 사업의 경비를 조달하고자 만든 재단이다. 교육을 위한 학보, 불경 간행을 위한 경보, 빈민 구제를 위한 제위보 등 고려 시대에는 다양한 보가 존재하였.. 2022. 10. 11.
원 간섭기의 내정 간섭과 자주성 손상 이 글은 고려 후기 원 간섭기의 내정 간섭과 자주성 손상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원 간섭기의 고려 (1) 개경 환도(1270) 몽골에 굴복하여 강화 체결 이후 개경으로 환도하였다. (2) 지위 격하 국왕이 원의 부마(사위)가 되는 관행 왕실 호칭과 격, 고려의 관제 격하 (3) 일본 원정 정동행성 설치 후 두 차례의 원정 (1274, 1281) -> 태풍등으로 원정 실패 (고려는 몽골의 요구로 전함 건조 및 수군 동원 등 인적, 물적 자원을 수탈 당하였다.) (4) 영통 상실 쌍성총관부(철령 이북 지역), 동녕부 (자비령 이북 지역), 탐라총관부(제주도) 설치 동녕부와 탐라총관부는 충렬왕 집권기 반환되었다. (5) 내정간섭 정동행성을 통해 일시적으로 .. 2022. 10. 11.
고려와 몽골과의 전쟁 이 글은 고려와 몽골과의 전쟁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몽골의 성장 테무친이 부족을 통일하고 칭기즈칸에 오름 서하 (탕구트) 정복, 금 정벌 # 몽골과 고려와의 접촉 (1) 강동성 전투 (1218~1219) 지금의 평안 남도 강동인 강동성에 침입한 거란을 고려, 몽골의 연합군이 섬멸한 전투 (2) 몽골의 무리한 공물 요구로 인한 관계 악화 # 몽골의 침입 (1) 과정 1차 침입 : 몽골 사신의 피살을 구실로 살리타가 대군을 이끌고 침입 -> 박서(귀주)의 항전, 충주성 전투(지배층은 도망가고 노군과 잡류로 이루어진 별초군이 주도하여 저항)의 승리 2차 침입 : 최우의 강화 천도(1232) -> 살리타의 재침입 -> 김윤휴가 처인성 전투에서 살리타 사살 .. 2022. 10. 11.
고려 불교의 발달 이 글은 고려의 불교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불교 정책 승불 정책 유지 (1) 태조 훈요 10조를 통해 불교를 중시할 것을 당부 (2) 광종 승과 제도 및 국사, 왕사 제도를 정비함 국사, 왕사 : 왕실의 자문 역할을 담당 사원에 면세 혜택을 부여함 # 불교 통합 운동의 전개 (1) 배경 11세기 이후부터 고려 불교계는 여러 교단과 종파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2) 숙종시기 선종 통합 1. 숙종 시기 대각국사 의천이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였다. 2. 종파통합 :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3. 교관겸수 제시 : 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함께 강조하였으며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교관겸수 :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와 실천 수행법인 .. 2022. 10.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