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남북국의 문화유산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남북국의 과학기술
(1) 목판 인쇄술 발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경주 불국사 3층 석탑에서 발견된 다라니경으로,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로 평가받고 있다.
(2) 뛰어난 금속 주조 기술
성덕 대왕 신종
-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들어졌는데, 우리나라에서 현재 남아있는 종중에서 가장크다. 표면에은 우아한 모습의 비천상이 공양을 하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3) 천문학과 수학의 발전
# 통일 신라의 문화재
(1) 고분
화장 유행(불교 영향) : 문무왕릉 (호국적 성격)
굴식 돌방무덤(둘레돌, 12지 신상)
- 김유신 묘, 괘릉, 성덕 대왕릉
(2) 건축과 탑
동궁과 월지(안압지)
- 신라 조경술의 극치, 연못과 인공섬을 자연스럽게 배치
불국사, 석굴암 : 불국토의 이상 반영
검은사지 3층 석탑, 불국사 3층 석탑, 다보탑
신라말기 : 진전사지 3층 석탑, 승탑과 탑비 유행
- 진전사지 3층 석탑 : 신라 말에 기다놔 탑신에 부조로 불상을 새긴 탑 등장
- 승탑 : 신라 말에는 선종이 널리 퍼지면서 승려의 사리를 봉안하는 스탑과 탑비가 유행하였다.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은 신라 말 대표적인 승탑입니다.
(3) 불상과 공예
석굴암 (본존불, 보살상)
법주사 쌍사자 석등
성덕 대왕 신종의 비천상
상원사 종
# 발해의 문화재
(1) 고분
정혜 공주 묘 : 굴식 돌방무덤, 모줄임천장 구조 (고구려 문화 계승)
정효 공주 묘 : 당의 영향, 도교적, 묘지석과 벽화 발굴
- 중국 영향을 받은 벽돌무덤이지만 고구려의 무덤 축조 양식도 반영되었으며 널방에 벽화가 그려져 있어 발해인의 모습을 살표볼 수 있다.
순목황후묘, 효의황후묘
(2) 건축과 탑
상경성 (주작대로 -> 당의 장안성 모방)
온돌 장치 : 고구려의 문화 계승
(3) 불상과 공예
이불 병좌상
벽돌과 기와 무늬 : 고구려 영향
돌사자상, 석등
반응형
'고대&고려 > 남북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와 거란과의 전쟁 (0) | 2022.10.11 |
---|---|
고려 집권 체제의 구축(광종/경종) (0) | 2022.10.11 |
통일 신라의 성쇠 (0) | 2022.10.11 |
통일신라와 발해의 사회상 (0) | 2022.10.11 |
고려 과학 기술의 발달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