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고려 불교의 발달 과정 중에서 대장경 및 교장 간행의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초조 대장경
현종 때 거란의 침입에 대응하여 제작하였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 되었다.
- 대장경 : 경, 율, 논 등 삼장의 불교 경전을 총칭하는 말
# 교장
의천이 국내, 송, 요, 일본으로부터 장소를 수집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을 작성하였다.
- 의천은 고려 중기의 승려로 국청사를 중심으로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여 종파를 통합하고자 노력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10년간 약 4700여권의 교장을 간행하였다.
# 팔만대장경
몽골의 침입을 격퇴하기 위해 판각 하였다. (목판 인쇄본)
현재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있다.
최우 정권이 강화도와 남해에 대장도감을 설치하여 조판하였다.
반응형
'고대&고려 > 남북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시대 건축과 불교 예술 (0) | 2022.08.02 |
---|---|
고려 광종의 정책(왕권 강화) (0) | 2022.08.01 |
고려 태조의 정책(집권 체제의 구축) (0) | 2022.08.01 |
고려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과 하층민의 봉기 (0) | 2022.07.29 |
고려 집권 체제의 구축 (성종)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