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고려의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과 하층민의 봉기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
명종 시기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이 의종의 복위를 꾀하며 난을 일으켰으며 서경 유수 조이총이 무신정권에 항거하였고, 이에 더하여 교종 승려들도 무신정권에 반발하였다.
# 하층민의 저항
(1) 저항 배경
무신들의 수탈과 중앙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
하층민 중에서 최고 권력자로 성장한 이의민의 등장
하극상이 사회에 만연함
(2) 하층민의 봉기
망이, 망소이의 봉기 (1726, 공주)
김사미, 효심의 봉기(1193, 운문, 초전)
만적의 봉기(1198, 개경)
# 삼국 부흥 운동
(1) 신라 부흥 운동
경주 농민 봉기 (동경)
(2) 백제 부흥 운동
이연년 형제의 봉기 (1237, 담양)
(3) 고구려 부흥 운동
최광수의 난 (1217, 서경)
반응형
'고대&고려 > 남북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불교의 발달(대장경 및 교장의 간행) (0) | 2022.08.01 |
---|---|
고려 태조의 정책(집권 체제의 구축) (0) | 2022.08.01 |
고려 집권 체제의 구축 (성종) (0) | 2022.07.29 |
고려의 건국과정(926~936) (0) | 2022.07.29 |
통일 신라 말기 사회의 혼란 (0) | 2022.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