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기능과 함께 자극의 종류에 따른 반응 겨로에 대하여 다루겠습니다.
#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1) 말초신경계의 정의
말초신경계는 감각시경과 운동신경으로 구성되며 온몸에 그물처럼 퍼져 있어 중추 신경계와 온몸의 조직이나 기관을 연결하여 그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신경계를 말합니다.
(2) 감각신경과 운동신경의 기능
감각신경 : 감각 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을 중추신경계로 전달한다
운동신경 : 중추신경계의 명령을 반응기로 전달합니다.
(3) 체성 신경과 자율신경의 기능
채성 신경 : 대뇌의 명령을 팔이나 다리 등의 근육으로 전달하여 몸을 움직이는 데 관여합니다.
자율 신경 : 심장이나 소장 등 내장 기관에 연결되어 있어, 대뇌의 직접적인 명령 없이 내장 기관의 운동을 조절합니다. 자율신경은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구분되며 같은 내장기관에 분포하여 서로 반대 작용을 합니다.
(4)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은 같은 내장 기관에 분포하여 서로 반대 작용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은 몸을 긴장 상태로 만들어 위기 상황에 대처하도록 조절하고, 부교감 신경은 긴장상태에 잇던 몸을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되돌리도록 조절합니다.
# 의식적인 반응의 경로
의식적인 반응은 대뇌가 관여하며 자신의 의지에 따라 일어나느 반응을 의식적인 반응이라고 합니다.
반응 경로 : 자극 -> 감각기관 -> 감각신경 -> 척수 -> 대뇌 -> 척수 -> 운동신경 -> 반응기 -> 반응
- 반응의 정의 : 감각기관이 받아들인 자극에 대해 우리 몸이 나타내는 행동으로 우리 몸에서 반응이 일어나려면 감각기관에서 받아들인 자극이 중추 신경계로 전달되고 반응 중추의 명령이 반응기로 전달되어야 합니다.
# 무조건 반사의 반응경로
무조건 반사는 대뇌가 관여하지 않으며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느 반응으로 척수, 연수, 중간뇌가관여합니다. 대뇌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의식적인 반응보다 빠르게 일어나며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데에 도움을 줍니다.
반응 경로 : 자극 -> 감각기관 -> 감각신경 -> 척수, 연수, 중간뇌 -> 운동신경 -> 반응기 -> 반응
# 무조건 반사의 중추별 반응 종류
척수의 무조건 반사 : 무릎 반사, 배뇨, 배변반사, 압정을 밟았을 때 발을 떼는 행동
연수의 무조건 반사 : 기침, 재채기, 침과 눈물 분비, 하품
중간뇌의 무조건 반사 : 주변의 밝기에 따른 동공의 크기조절
여기까지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기능과 함께 자극의 종류에 따른 반응 겨로에 대하여 다루었습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런과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0) | 2022.02.20 |
---|---|
코와 혀, 피부의 구조와 기능 (0) | 2022.02.20 |
눈과 귀의 구조와 기능 (중학교 3학년 과학) (0) | 2022.02.19 |
환경 오염의 조정 ‘피구세’ (0) | 2022.02.19 |
버번 위스키 자세히 알고 먹자 (0) | 2022.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