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대&고려/남북국&고려

고려 집권 체제의 구축 (성종)

by ,ㅣ,ㅣ, 2022. 7. 29.
반응형

이 글은 고려 성종의 통치 체제 정비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최승로의 시무 28조 체택

  고려 성종시기 최승로는 시무 28조를 올려 유교의 진흥과 지방관 파견, 과도한 재정 낭비를 가져오는 불교 행사의 억제 등을 건의하였으며 성종은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제도를 정비하였다. 도한 연등회를 축소하고 팔관회를 폐지하는 등 국가적으로 불교 행사를 억제하였다. 

 

# 중앙 정치기구 정비

  당의 3성 6부제와 신라, 태붕 제도를 참고하여 2성 6부 체제를 마련하였다.

  • 중앙 정치기구 정비 이후 송의 관제(중추원, 삼사)를 수용하였다.
  • 고려의 실정에 맞게 도병 마사와 식목도감을 설치하였다.

# 지방 세력 견제

  12목을 설치하여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향리 제도를 정비하였다.

  • 지방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지방의 호족을 향리로 편입하여 통제한 제도

# 유교 교육 진흥책

  국자감을 정비하였다

  12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하였다

 

# 민생 안정 정책

  빈민 구제 기관인 의창을 설치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