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대&고려/남북국&고려

고려 불교의 발달

by ,ㅣ,ㅣ, 2022. 10. 11.
반응형

이 글은 고려의 불교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불교 정책

승불 정책 유지

 

(1) 태조

훈요 10조를 통해 불교를 중시할 것을 당부

 

(2) 광종

승과 제도 및 국사, 왕사 제도를 정비함

  • 국사, 왕사 : 왕실의 자문 역할을 담당

사원에 면세 혜택을 부여함


# 불교 통합 운동의 전개

(1) 배경

11세기 이후부터 고려 불교계는 여러 교단과 종파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2) 숙종시기 선종 통합

1. 숙종 시기 대각국사 의천이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였다.

2. 종파통합 :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3. 교관겸수 제시 : 이론의 연마와 실천을 함께 강조하였으며 교종을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 교관겸수 :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와 실천 수행법인 관을 함께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

4. 의천이 죽은 뒤 교단이 다시 분열하였다.


# 결사운동과 조계종

(1) 결사 운동

내용 : 불교계 본연의 자세 확립을 주창하는 새로운 종교 운동

수선결사 : 보조국사 지눌이 결사 제창

  • 현재 순천시 조계산 송고아사를 중심으로 활동

백련결사 : 강진의 만덕사를 중심으로 요세가 결성되었으며 토호와 지방민의 호응을 얻었다.

 

(2) 조계종

지눌 :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바탕으로 조계종을 발전시켰으며 선종 위주의 교종을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정혜쌍수 :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아 어느 한편에 치우침 없이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
  • 돈오점수 : 마음이 곧 부처임을 단번에 깨치되, 그 후에도 계속 꾸준히 수행해야 한다는 주장

혜심 : 유,불 일치설 주장하며 심성의 도야를 강조하여 성리학 수용의 토대를 제공하였다.


# 고려말 불교계의 폐단

(1) 권문세족과 연결되어 세속화

(2) 막대한 토지와 노비 소유

(3) 신진사대부에게 비판받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