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대&고려/남북국&고려21

고려 광종의 정책(왕권 강화) 이 글은 고려 광종의 정책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노비안검법 실시 불법으로 노비가 된 사람들을 양민으로 해방시킴으로서 공신 및 호족 세력의 경제력과 군사력을 약화시켰다. # 과거제 실시 후주에서 귀화한 인물인 쌍기의 건의로 실시되었다. 시험으로 관리를 선발하여 신진 관료로 등용하여 신구 세력의 교체를 불러일으켰다. 제술업, 명경업등 각각의 업으로 시험을 쳐서 벼슬길에 나아가게 하였습니다. # 공복 제정 관리의 복색을 관등에 따라 구분하여 관리의 위계 질서를 확립하였다. # 칭제 건원 표방 '광덕' 이라는 황제 친호를 사용하였으며 '준풍' 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개경을 황도, 서경을 서도라고 칭하였다. # 주현공부범 실시 주, 현 단위로 조.. 2022. 8. 1.
고려 불교의 발달(대장경 및 교장의 간행) 이 글은 고려 불교의 발달 과정 중에서 대장경 및 교장 간행의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초조 대장경 현종 때 거란의 침입에 대응하여 제작하였으나, 몽골의 침입으로 소실 되었다. 대장경 : 경, 율, 논 등 삼장의 불교 경전을 총칭하는 말 # 교장 의천이 국내, 송, 요, 일본으로부터 장소를 수집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을 작성하였다. 의천은 고려 중기의 승려로 국청사를 중심으로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여 종파를 통합하고자 노력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10년간 약 4700여권의 교장을 간행하였다. # 팔만대장경 몽골의 침입을 격퇴하기 위해 판각 하였다. (목판 인쇄본) 현재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되어 있다. 최우 정권이 강화도와 .. 2022. 8. 1.
고려 태조의 정책(집권 체제의 구축) 이 글은 고려 태조의 정책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호족에 대한 회유와 통제 (1) 회유책 혼인 정책과 사성 정책을 통하여 호족 세력을 포섭하였다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신하들에게 토지를 지급하였다. (역분전) (2) 통제책 사심관 제도 : 고위 관리에게 출신 지방의 호족을 관리하게 하였다. 기인제도 : 호족의 자제를 인질로서 중앙에 파견하게 하였다. (신라의 상수리 제도에서 비롯됨) # 민생 안정책 취민유도를 내세우며 조세 수취를 1/10로 완화시켰다. 빈민 구제기관인 흑창을 설치하였다. # 북진 정책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였다. 서경을 북진 정책의 전진기지로 개발하였다. 청천강~ 영흥의 국경선을 확보하였다. 반거란 정책을 실시하였다. (만부교.. 2022. 8. 1.
고려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과 하층민의 봉기 이 글은 고려의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과 하층민의 봉기에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무신 정권에 대한 저항 명종 시기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이 의종의 복위를 꾀하며 난을 일으켰으며 서경 유수 조이총이 무신정권에 항거하였고, 이에 더하여 교종 승려들도 무신정권에 반발하였다. # 하층민의 저항 (1) 저항 배경 무신들의 수탈과 중앙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 하층민 중에서 최고 권력자로 성장한 이의민의 등장 하극상이 사회에 만연함 (2) 하층민의 봉기 망이, 망소이의 봉기 (1726, 공주) 김사미, 효심의 봉기(1193, 운문, 초전) 만적의 봉기(1198, 개경) # 삼국 부흥 운동 (1) 신라 부흥 운동 경주 농민 봉기 (동경) (2) 백제 부흥 운동 이연년.. 2022.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