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파킨슨병은 무엇인지 어떻게 간호를 시행해야 되는지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1. 파킨슨병의 정의
- 기저핵의 뉴런을 침범하는 만성 퇴행성 중추신경 장애로 떨림 마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 서행증(운동의 시작 및 수행의 느려짐), 경축(근육의 긴장도 증가), 휴식 시 떨림과 체위 반사 상실 등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나타난다.
- 남성이 여성보다 발병률이 높으며 60대 이상의 나이에서 많이 발병하는 추세이다.
- 발병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바이러스, 대사, 혈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병했을 거라는 의견이 있다.
- 최근 연구로 인해 유전적 요인으로 인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 목의 굴곡 머리의 떨림, 무표정, 침 흘림, 강직, 굽은 자세, 체중감소, 실독증, 손 떨림, 자세반사의 상실, 뼈의 광물질 소실증, 발을 질질 끄는 가속 보행 등의 임상증상이 존재한다.
2. 파킨슨병의 병태 생리
- 도파민 생성 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인해 도파민과 아세틸콜린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 도파민은 운동계의 정상기능(자세조절, 지지, 수의적 움직임 조절)을 유지하는데 도파민 신경원의 파괴로 반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아세틸콜린으로 인해 진전, 근육 긴장도 상실로 인한 경직, 자세 변화 및 걸음걸이에 비정상적인 영향을 미친다.
- 특발성 파킨슨병은 흑질의 남아 있는 뉴런에 레비소체가 나타나 발생 한다.
3. 파킨슨병의 치료 및 간호중재
- 신경흥분전달물질의 균형 유지를 통한 증상 조절을 위해 약물요법을 시행하는데 도파민, 도파민 전구물질, 도파민 작용제, 모노아민 옥시다제 B억제제, COMT 억제제, 항콜린성 제제, 글루타메이트 길항제 등을 사용한다.
- 수술을 통해 떨림 및 경축 증상을 조절하는데 심부뇌자극법이 있다.
- 재활을 통하여 근육의 경축을 완화하고 예방한다.
- 근이완을 위한 마사지와 목요을 실시한다.
- 일상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를 배치하거나 구비한다.
- 관절의 유연성, 기형예방을 위한 운동을 실시한다.
- 보행 시 외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넓은 보폭으로 걷고 척추를 곧게 유지 시키도록 한다.
- 보조기 사용을 통하여 사고를 예방한다.
파킨슨병이 무엇이고 어떠한 병태생리로 나타나는지 증상과 치료와 간호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등식의 정의와 표현 및 풀이방법 (0) | 2022.01.20 |
---|---|
헬스도 스마트하게 ‘조본업’ (0) | 2022.01.18 |
구름과 단열팽창, 강수와 비의 종류(중학교 3학년 과학과정) (0) | 2022.01.18 |
전기차 배터리 소재 및 부품 테마 소개와 관련주 전망 (0) | 2022.01.17 |
정부, 온실가스, 농업 관련 환경 용어 정리 (0) | 2022.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