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관한 정보를 자격증 시험용 정보와 교양용 정보로 나누어 적은 글입니다.
# 제 1차 갑오개혁 (1894.7)
(1) 배경
일본의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도발 -> 조선의 내정 개혁 강요 -> 김홍집 내각 성립, 교정청 폐지 후 군국기무처 설치
(2) 특징
군국 기무처가 개혁을 주도, 김홍집을 총재로 하여 유길준과 박정양 등이 참여
(3) 개혁 내용
- 정치 : 개국 기년 사용, 왕실 사무와 정부 사무 분리 (궁내부 신설, 왕권 제한), 6조를 8아문으로 개편, 과거제 폐지, 경무청 신설 (경찰 제도 실시)
- 개국 기년 : 중국의 연호 대신 조선이 건국된 1392년을 기준으로 삼은 것
- 경제 : 탁지아문으로 재정 일원화, 은본위 화폐 제도 채택, 조세 금납제 실시, 도량형 통일
- 사회 : 신분제 철페 (공.사노비 제도 혁파), 봉건적 악습 타파 (조혼 금지, 과부 재가 허용)
# 제2차 갑오개혁(1894.12)
(1) 배경
청.일 전쟁에서 승기를 잡은 일본이 조선의 개혁 간섭
(2) 특징
군국기무처 폐지, 일본에서 기귀국한 박영효가 내각에 참여 (김홍집, 박영효 연립 내각)
- 박영효 : 급진 개화파 인물로 갑신정변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자 일본에 망명하였다.
(3) 개혁 추진
독립 서고문 발표 (자주 독립 선호), 홍범 14조 발표
(4) 개혁 내용
- 정치 : 의정부를 내각으로 개편, 8아문을 7부로 개편,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 지방관의 권한 축소 (사법권과 군사권 폐지), 근대식 재판소 설치 (사법권 독립)
- 사회 : 교육입국 조서 반포, 근대식 교육제도 마련(한성 사범학교, 소학교, 외국어 학교 관제 등)
- 교육입국 조서 : 1895년 2월 고종이 발표한 교육에 관한 조칙으로, 국가의 부강은 국민의 교육에 있다라고 하여 교육을 국가 발전의 근본으로 인식하였다. 이후 이를 실천하기 위해 한성 사범 학교와 소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 을미개혁 (제 3차 갑오개혁, 1895)
(1) 배경
1. 일본이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뒤 시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여 랴오둥 반도 차지
2. 러시아가 주도한 삼국 간섭으로 일본이 랴오둥 반도를 청에 반환
- 삼국 간섭 : 청.일 전쟁의 결과 시모노세키 조약이 체결되어 일본이 랴오둥 반도를 차지하자, 만주와 조선에 진출할 야심을 갖고 있던 러시아가 프랑스와 독일을 끌어들여 일본에 영향력을 행사해 랴오둥 반도를 포기하도록 한 사건이다.
3. 고종과 명성 황후가 미국 및 러시아와 가까운 인물들로 내각을 구성하고 일본 견제
4. 일본이 명성 황후 시해 (을미사변)
- 을미사변 : 일본이 1895년 8월 러시아를 끌어들여 일본을 배척한 배후 인물로 명성 황후를 지목하고, 일본 공사 마우라의 직접 지시하에 경복궁을 기습하여 명성 황후를 참혹히 살해한 사건이다.
5. 김홍집 내각이 구성되어 개혁 추진
(2) 개혁 내용
- 정치 : 건양 연호 사용
- 사회 : 태양력 사용, 단발령 실시, 종두법 시행, 소학교 설립, 우편 사무 재개
- 태양력 : 태양력 사용에 따라 음력 1895년 11월 17일이 1896년 1월 1일이 되었다.
- 군사 : 친위대(중앙), 진위대(지방) 설치
(3) 개혁에 대한 반발
1. 을미사변 및 단발령 등에 대한 반발 심화
2. 유생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의병 봉기 (을미의병)
(4) 개혁 중단
아관파천(1896) 직후 김홍집 내각 붕괴, 친러 정권 수립
- 아관파천 : 을미사변 이후 신변에 불안을 느낀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처소를 옮긴 사건
고종은 단발령을 철회하고 의병 해산 권고 조칙을 내림
#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의 의의와 한계
(1) 의의
1. 갑신 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 등에서 제기된 개혁 요구를 반영하였다.
2. 신분제 철폐 등 전 분야에 걸쳐 근대적 개혁을 실시하였다.
(2) 한계
1. 일본의 강요로 추진되어 일본이 본격적으로 조선을 침략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2. 토지 제도 개혁 소흘 등으로 민중의 외면을 받았다.
3. 상공업 진흥 및 국방력 강화 등 자주 국가 수립에 필요한 개혁안이 미흡하였다.
'근대 > 근대 국가의 수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일 의거 활동과 애국 계몽 운동 (0) | 2022.10.21 |
---|---|
독립 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 (0) | 2022.10.19 |
임오군란의 배경, 전개, 결과 (0) | 2022.10.19 |
대한 제국의 수립과 광무개혁 (0) | 2022.08.05 |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0) | 2022.08.05 |
댓글